[전남 친환경농업 10년]①'친환경農 1번지' 도약
[전남 친환경농업 10년]①'친환경農 1번지' 도약
  • 나는기자다
  • 승인 2013.01.14 08: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도(農道) 전남이 '녹색의 땅, 전남'을 기치로 친환경농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것은 2004년. 햇수로 올해가 꼬박 10년째다.

주변의 냉소적 반응을 딛고 일궈낸 전남의 친환경농업은 지난 10년간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뒀고, '친환경농업 1번지' '친환경 농축산 수도'라는 애칭도 얻게 됐다. 고소득 농업인이 늘면서 은퇴농, 귀촌농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농약살포 등으로 친환경 인증이 취소되는 농가가 간헐적으로 발생하고 일부 지역에서 친환경농업단지가 흔들거리는 등 해결과제도 적잖다.

전남 친환경농업의 현주소와 비전, 과제 등을 짚어본다. <편집자주>

①'친환경農 1번지' 도약

"전남의 친환경농업과 친환경농산물 무상급식 등을 아프리카 기아난민 등 지구촌 식량문제 해결에 적극 활용해야 할 때라고 봅니다."

2012여수세계박람회 폐막식에 참석한 조세 그라지아노 다 실바 FAO(세계식량농업기구) 사무총장이 던진 말이다. 전남 친환경농업의 현주소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매사가 그렇듯, 친환경농업도 시작부터 순풍을 탄 것은 아니다. 냉소주의와 선입견은 가장 큰 적이었다. 경지면적의 1.3%에 불과한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을 5년 만에 30%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에 일부 전문가들마저 고개를 저었다.

전남도 친환경농업과 관계자는 13일 "일반농업보다 생산량은 줄어드는 반면 일손과 자재비는 많이 든다는 고정관념에다 저농약, 무농약에 비료마저 쓰지 않는 유기농까지 '과연 되겠느냐'는 회의적 반응이 시행 초기 많았던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농법별로 표준화된 실천기술이 확립되지 않았고, '친환경' 딱지가 붙었지만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일부 농자재가 공급되면서 현장의 혼선도 컸다.

산넘어 산이었지만, 시간이 약이었다. 친환경농업 전문가들을 자문위원으로 앉히고 품목별로 옛 선조들이 사용했던 농법과 현대과학을 접목해 손쉬운 농법들을 하나둘 개발하기 시작했다. 매뉴얼도 차곡차곡 쌓였다.

현장에선 마인드 개조와 기술교육이 이뤄졌고 현재까지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농업인만 10만명을 넘어서고 있다. 귀촌도 덩달아 늘게 됐다. 인생 제2막을 위해 지난해 전남에서 새롭게 둥지를 튼 귀촌인은 3459명으로 전년보다 2.3배나 증가했다. 전국 1위다.

자유무역협정(FTA)과 도하개발어젠다(DDA) 협상 등에 따른 농산물 시장개방에 대비해 "전남농업의 운명을 바꿔 보자"며 시작한 친환경농업은 2004년 수립된 '생명식품 생산 5개년 계획'으로 차츰 현실화됐다.

흙살리기 프로젝트를 비롯해 친환경농업단지 조성, 유통망 강화에 나서는 동시에 친환경농업육성조례와 동물복지형 친환경녹색축산 육성조례 등 조례제정과 기금조성도 활발히 이뤄졌다.

그 결과, 5년이 지난 2009년 친환경 농가는 4060호에서 11만385호로 27.2배 증가했고, 인증면적(4057㏊→10만4682㏊)과 생산량(5만6005톤→127만5305톤)도 나란히 25.8배, 22.8배나 폭증했다. 업체수와 고용인력 역시 각각 3.7배, 3.0배 늘었다.

2차 5개년 계획도 순조롭게 진행돼 지난해 말 현재 전남지역 친환경 인증 국내점유율은 농업 61%, 수산 99%, 축산 36%로 '친환경 메카'로 손색이 없다. 유기농과 무농약만 놓고 보면 2004년보다 48.6%나 증가했다.

수요가 늘면서 소득도 2011년 대비 10.1% 증가해 전국 평균(-6.1%)과 대조를 보인 반면 부채는 17.3%나 줄어 감소율이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다. 소득은 늘고 부채는 줄어드는 선순환 구조를 보인 셈이다.

실제 지난해 전남에서 1억원 이상의 소득을 올린 농업인은 3400농가로 전년(2753농가)보다 647농가(23.5%)나 늘었다. 3차례 태풍과 FTA, 농자재 가격상승 등의 악재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친환경농축산업 육성, 품목별 조직화·규모화 정책이 주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조사결과 1억 이상 소득요인 중 친환경농업(34.9%)이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고, 규모화·조직화(31.5%), 판로 안정(21.%)이 뒤이었다. 분야별로는 축산이 1246농가(36.6%)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식량작물과 채소 분야가 각각 1086농가(31.9%)와 529농가(15.6%) 등이다.

전남하면 떠오르는 고품질 쌀도 친환경농업의 산물이다.

소비자단체가 주관하는 '2012년 전국 고품질 브랜드 쌀 평가'에서 전남쌀은 전국 12개 중 함평 '나비쌀', 보성 '녹차미인보성쌀', 영광 '사계절이 사는집', 장흥 '아르미쌀' 등 4개가 선정돼 전국 브랜드 쌀 평가 첫해인 2003년부터 10년 연속 전국 최다 선정의 영예를 안았다. 친환경농업으로 쌀소득만 1000억원이 증가한 것으로 도는 추산하고 있다.

전남쌀 소비증가에는 학교급식이 일등공신. 전남은 2005년부터 도내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친환경 농산물을 식재료로 공급하기 시작했고, 2007년부터는 학교급식에 사용되는 모든 식재료를 전남산 친환경농산물로 공급하고 있다. 급식 식재료 사업비 예산만 지난해까지 4000억원에 육박한다.

지난해 서울과 경기지역 학교급식용 쌀의 48%, 과채류의 51%가 전남산으로 채워졌고, 영남권 학교급식 구매약정도 130억원에 달했다.

친환경 양식기반 구축과 수산업 주식회사 설립 등 바다자원의 규모화와 기업화도 활발하게 진행중이고, 동물복지형 녹색축산은 농도 전남의 또 다른 경쟁력이 되고 있다. 계란, 흑염소, 돼지에 이어 사슴, 꿀벌, 곤충 등 축종별 기업화도 분주하다.

박준영 전남지사는 최근 신년 도정 운영방향에 대해 "고부가 생명산업 육성에 최우선 가치를 두겠다"며 "친환경 농업을 주축으로 고부가가치 식품산업 육성, 녹색축산 등에 주력해 수도권 등 대도시는 물론 중국의 잘 사는 1억, 일본 2억명을 겨냥한 '고급 식단'을 선점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무안=뉴시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법인명 : (주)퍼블릭웰
  • 사업자등록번호 : 616-81-58266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남광로 181, 302-104
  • 제호 : 채널제주
  •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제주 아 01047
  • 등록일 : 2013-07-11
  • 창간일 : 2013-07-01
  • 발행인 : 박혜정
  • 편집인 : 강내윤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내윤
  • 대표전화 : 064-713-6991~2
  • 팩스 : 064-713-6993
  • 긴급전화 : 010-7578-7785
  • 채널제주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채널제주.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channeljeju.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