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재호의원, 그린뉴딜 선도하는 제주연안 해양관리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에 총력

2021-12-06     박혜정 기자
송재호

국가 해양환경관측망과 연계한 제주(섬) 연안 해역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이 구축될 전망이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인 송재호 의원(제주시갑·정무위)에 따르면, 연안환경 관측망 연계로 국가와 중·장기적 연안환경 관리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내년도 신규 예산 8억 5천만 원이 확보됐다고 밝혔다.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수온상승과 제주도 관광객 증가에 따라 배출수, 해양쓰레기, 괭생이모자반, 해파리 등 해양유해인자가 해류를 따라 마을어장내로 이동하면서 제주 연안 어장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제주 해안에 유입된 해양쓰레기는 2014년 5,600톤에서 2015년부터 급증하며 지난해 최대치를 기록했다. 연도별로 2015년 14,475톤, 2016년 10,800톤, 2017년 14,062톤, 2018년 12,412톤, 2019년 16,112톤, 2020년 16,702톤을 수거했다.

또한 중국 기원의 괭생이모자반이 2015년을 시작으로 유입되기 시작하면서 2021년 10,036톤 이상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괭생이모자반은 바다 위 미세먼지로 불리며 지자체별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주의 해양쓰레기는 매년 60~70억원의 처리 비용이 소요되며, 괭생이모자반 또한 매년 2~3천명을 투입해 수거하는 등 피해복구에 큰 비용이 들어 지자체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빅데이터기반 연안 자원변동 및 환경변동 스마트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고수온 재해 등 기후변화에 따른 연안관리 안정화를 통한 제주형 연안환경 예측시스템을 구축해 제주해역의 수산자원 및 어장환경 보존 대응방안을 마련한다.

정부 관측자료는 제주주변 외해역의 환경변화를 다룸으로써 지리적으로 해양환경 영향의 최전선에 있는 제주 연안역에 대한 조사는 미비하여 제주 해양환경 및 자원변동에 대한 감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송재호 의원은“해양쓰레기를 비롯한 해양유해인자 처리를 위해 매년 수십억 원이 들고 있다. 제주형 연안환경 변화 예측시스템 구축으로 청정자연의 제주 해양환경을 보전하고 각종 오염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